ESS 화재의 원인을 찾아 안전 강화 대책으로서 예방한다.

재생 가능 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 에너지 저장 장치인 ESS입니다. 그런데 연이은 화재로 인해 우려를 표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지난해 6월부터 ESS 화재원인조사단을 구성해 4건의 화재사고를 조사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산업부가 ESS 안전강화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화재 원인을 조사한 한국전기안전공사 조사단은 무엇보다 배터리에 주목했습니다. 더 이상의 화재를 막기 위해서는 배터리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제조공정 및 운영관리를 개선해야 한다는 판단이었습니다.

배터리 충전율 제한이 아닌 보증수명에 배터리 충전율 제한을 보증수명으로 변경하고 배터리 셀의 열폭주 방지를 위해 적합성 인증 의무화를 추진합니다. 현재 배터리 충전율은 실내 80% 이하, 실외 90% 이하였으나 배터리 보증 수명을 기준으로 용량을 설계하여 사용자는 보증 수명 용량 이하로 사용하게 됩니다.

조사단은 ESS 화재는 설치 초기 2년 이내에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했다고 밝혔습니다. ESS 사용 전 검사 시 제출된 보증수명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정기검사 시 잔존용량을 확인하여 ESS 설치 초기 화재사고를 예방한다는 계획입니다.

자율적인 제조 공정 개선과 교체 배터리 제조 공정도 보다 안정적으로 바뀝니다. 배터리 제조사에 자체적으로 공정을 개선하여 문제가 되는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하였으나 현재 진행 중입니다. S사는 음극코팅과 건조방식 등 2차례 제조공정 개선과 이미 설치된 배터리 중 이상현상이 발견된 배터리를 교체하고 있습니다. L사도 전극 코팅면의 두께 편차 문제를 발견하고 제조 공정 개선을 실시해 문제가 발생한 한 공장의 배터리 전체를 교체했습니다.

각종 안전사고 예방과 점검 전류가 가야 할 장소가 아니라 다른 곳으로 흐를 때 발생하는 사고를 지락사고라고 합니다. 산업부는 배터리에서 절연저항이 제조사 기준치 이하인 경우 경보가 울리도록 안전기준을 개정하는 한편 배터리 실내폭발을 예방하기 위해 내부압력을 낮추는 감압을 위한 배출기능을 설치하도록 개정을 추진합니다.

또 배터리 업체 자체 소화시스템 설치를 설치해 문제 확산을 예방하고 일상적인 관리를 위해 안전관리자가 월 1회 주기적 점검을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

화재 사고 때문에 에너지 전환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산업부에 따르면 한국이 세계 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어 사고 빈도가 많은 것은 사실이라고 합니다. ESS 화재는 미국, 중국, 독일, 호주 등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인명사고도 발생한 바 있어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합니다.

산업부는 ESS 사업장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온라인 검사로 비용적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전기저장장치 안전관리 교육과정을 신설 및 운영하고 중장기적으로 교육기관을 통해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서울에너지 홈페이지 접속

1.5도시 홈페이지 숏컷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