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에서 분리된 성능검증위성이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에 성공하면서 모든 기능은 정상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앞으로 성능 검증 위성은 어떤 임무를 수행하게 될까요?
검증위성 지상과 양방향 교신 성공 모든 기능 정상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2차 발사를 하고 있다. 이번 2차 발사는 한국이 자체 개발한 발사체에 실제 기능을 가진 자체 개발 인공위성을 탑재해 발사하는 첫 사례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서 분리된 성능 검증 위성이 지상사와 쌍방향 교신에 성공하고 모든 기능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와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은 6월 21일 오후 4시에 발사한 누리 호가 목표 궤도에서 성능 검증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6월 22일 오전 3시 2분경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 쌍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전했습니다.항우연은 발사 당일 남극 세종 기지와 항우연 지상국 안테나를 통해서 성능 검증 위성의 기본 상태 정보를 수신했습니다. 이어 성능 검증 위성과 대전 항우연 지상사 간의 쌍방향 교신마저 이뤄짐에 누리호의 위성 궤도 투입 성능을 완전히 확인했습니다.이날 교신에서는 원격 명령을 통해서 위성 시각과 지상국 시각을 상호 동기화하는 성능 검증 위성에 탑재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수신기를 활성화했습니다. 또 향후 3축 자세 제어를 위해서 필요한 궤도 정보도 지상국에서 성능 검증 위성에 전송했습니다.항우연 연구진이 성능 검증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성능 검증 위성의 상태는 양호하다 모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앞으로 성능 검증 위성과 항우연 지상사 간의 교신을 통해서 성능 검증 위성이 발사 후 자체 메모리에 보존하고 있는 초기 데이터와 GPS데이터는 고속 전송 모드(1Mbps)에서 다운로드할 계획입니다.

한국의 대학 개발 큐브 위성 4기를 발사 예정, 또 성능 검증 위성은 향후 7일 동안 위성의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자세를 안정화시키고 6월 29일부터 2일마다 한국 대학에서 개발한 큐브 위성을 1개씩 냅니다. 사출은 조선 대학(6월 29일), KAIST(7월 하루)서울대(7월 3일)연세대(7월 5일)순으로 진행됩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전용 카메라가 탑재되지 큐브 위성의 사출 과정을 촬영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영상 데이터를 향후 지상국에 전송하게 됩니다.한편 성능 검증 위성은 향후 2년간 지구의 태양 동기 궤도를 하루에 14.6바퀴 궤도 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향후 1개월 동안 초기 운영 기간을 거친 뒤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발열 전지, 제어 모우먼트 자이로, S-Band안테나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성능 검증 위성의 운용 기간 중 이런 탑재체가 실제로 우주 환경에서 설계된 성능을 잘 발휘할지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입니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의 김·기 석 우주 기술 과장은 “성능 검증 위성의 지상국 교신이 성공했으니 향후는 큐브 위성 사출 및 탑재체 성능 검증 등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이라고 밝혔습니다.정책 주간지<공감>홈 페이지의 원문 기사를 본다
한국의 대학개발 큐브 위성 4기를 발사할 예정, 성능검증위성은 앞으로 7일간 위성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자세를 안정화하고 6월 29일부터 이틀 간격으로 한국 대학에서 개발한 큐브 위성을 1개씩 내놓습니다. 사출은 조선대학교(6월 29일), KAIST(7월 1일), 서울대(7월 3일), 연세대(7월 5일) 순으로 진행됩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전용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어 큐브 위성 사출 과정을 촬영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향후 지상국으로 전송하게 됩니다.한편 성능 검증 위성은 향후 2년간 지구의 태양 동기 궤도를 하루에 14.6바퀴 궤도 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향후 한 달간 초기 운영 기간을 거친 후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발열 전지, 제어 모멘트 자이로, S-Band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성능 검증 위성 운용 기간 동안 이러한 탑재체가 실제로 우주 환경에서 설계된 성능을 잘 발휘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입니다. 김기석 과기정통부 우주기술과장은 “성능검증위성의 지상국 교신이 성공한 만큼 앞으로는 큐브위성 사출 및 탑재체 성능 검증 등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정책주간지 <공감> 홈페이지 원문기사 보기

한국의 대학개발 큐브 위성 4기를 발사할 예정, 성능검증위성은 앞으로 7일간 위성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자세를 안정화하고 6월 29일부터 이틀 간격으로 한국 대학에서 개발한 큐브 위성을 1개씩 내놓습니다. 사출은 조선대학교(6월 29일), KAIST(7월 1일), 서울대(7월 3일), 연세대(7월 5일) 순으로 진행됩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전용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어 큐브 위성 사출 과정을 촬영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향후 지상국으로 전송하게 됩니다.한편 성능 검증 위성은 향후 2년간 지구의 태양 동기 궤도를 하루에 14.6바퀴 궤도 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향후 한 달간 초기 운영 기간을 거친 후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발열 전지, 제어 모멘트 자이로, S-Band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성능 검증 위성 운용 기간 동안 이러한 탑재체가 실제로 우주 환경에서 설계된 성능을 잘 발휘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입니다. 김기석 과기정통부 우주기술과장은 “성능검증위성의 지상국 교신이 성공한 만큼 앞으로는 큐브위성 사출 및 탑재체 성능 검증 등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정책주간지 <공감> 홈페이지 원문기사 보기
한국의 대학개발 큐브 위성 4기를 발사할 예정, 성능검증위성은 앞으로 7일간 위성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자세를 안정화하고 6월 29일부터 이틀 간격으로 한국 대학에서 개발한 큐브 위성을 1개씩 내놓습니다. 사출은 조선대학교(6월 29일), KAIST(7월 1일), 서울대(7월 3일), 연세대(7월 5일) 순으로 진행됩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전용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어 큐브 위성 사출 과정을 촬영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향후 지상국으로 전송하게 됩니다.한편 성능 검증 위성은 향후 2년간 지구의 태양 동기 궤도를 하루에 14.6바퀴 궤도 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향후 한 달간 초기 운영 기간을 거친 후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성능 검증 위성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발열 전지, 제어 모멘트 자이로, S-Band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성능 검증 위성 운용 기간 동안 이러한 탑재체가 실제로 우주 환경에서 설계된 성능을 잘 발휘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입니다. 김기석 과기정통부 우주기술과장은 “성능검증위성의 지상국 교신이 성공한 만큼 앞으로는 큐브위성 사출 및 탑재체 성능 검증 등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정책주간지 <공감> 홈페이지 원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