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재밌지. – 취미로 과학하는 사람들.[취미로 히어로 #2] ‘천문학은 천문학자가 아닐 때

[취미로 히어로 #2] ‘천문학은 천문학자가 아닐 때가 더 재밌지’ – 취미로 과학하는 사람들

천문학은 천문학자가 아닐 때가 더 재밌지. – 브라이언 메이.

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다. 인터넷에 자주 떠도는 말이지만 출처를 찾기가 쉽지 않지만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유명인사에게 주는 명예학위 같은 게 아니다. ‘황도의 먼지 구름에 관한 시상속도'(Radial Velocities in the Zodiacal Dust Cloud)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취득한 정식 박사 학위다.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의 천문대에서 3.6m급의 망원경을 사용해 연구에 매진했다.

메이의 논문이 발표되기 이전에 천문학자들은 황도광을 구름이나 맑은 하늘에 의해 햇빛이 산란되는 현상인 ‘새벽박명’으로만 판단했지만 현재는 태양 주위에 가장 빽하게 모여 있는 먼지 입자가 반사되는 태양광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사실 그는 기타리스트로 활동하기 전 임페리얼칼리지 런던에서 천체물리학을 전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퀸의 음악적 성과가 너무 폭발적인 나머지 뮤지션의 길을 걷게 됐지만 우주를 향한 그의 열정은 식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자신의 저자 <더 커즈믹 투어리스트(The Cosmic Tourist)>에서 우주에서 꼭 가봐야 할 우주 명소 100곳을 소개하기도 했다.>

브라이언 메이는 “퀸의 멤버로서 음악을 만드는 것은 매우 즐거웠다”고 밝히며 “그러나 지난 수년간 심취해 온 천체물리학에 대해 성과를 이룬 것이 얼마나 만족스러운지 모르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여전히 기타리스트, 로커로 월드투어를 하며 임페리얼칼리지 런던 천문학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체물리학이 부업 기타리스트 낯선 조합 같지만 브라이언 메이에게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브라이언 메이가 너무 특별한 사람 같다면 좀 더 평범한 사람 이야기도 있다. 캐나다에 취미로 천문학을 하던 누군가의 이야기.

스코틸리는 낮에는 전기 기술자로 일하고 밤에는 인공위성을 추적했다. 12년 전 NASA가 잃은 인공위성을 발견했다(워싱턴포스트 기사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inspired-life/wp/2018/02/01/this-amateur-astronomer-found-a-satellite-lost-in-space/그런데 사진이 천문학자들보다는 낚시꾼처럼 나와 좀 아쉽다. 밑에 더 잘 나온 사진이 있으니까..) With his home equipment, Scott Tilley went on a needle-in-a-haystack search and found a NASA satellite that had been lost for more than a decadewww.washingtonpost.com

2000년 3월 25일 미 항공우주국(NASA)은 이미지(IMAGE)라는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이 위성은 5년간 지구 주위를 돌며 지구 자기장이 미치는 자기권과 태양풍 입자의 상호작용을 관측했지만 갑자기 교신이 끊겼고 NASA는 2년간 150만달러를 투자해 탐사를 했지만 결국 포기했다.

< IMAGE 인공위성 >

그런데 2018년 캐나다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스콧 틸리는 여느 때처럼 취미로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은 군사기밀위성이 지구 주위에 얼마나 떠 있는지 추적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의문의 전파를 하나 발견했는데 그것이 바로 잃어버린 IMAGE라는 인공위성이었다.

틸리는 이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NASA에 알렸다. 이렇게 나사는 잃어버린 인공위성을 12년 만에 되찾게 됐다.그는 낮에는 보트의 전력 시스템을 설계하는 전기 기술자로 일하고 밤에는 인공위성을 추적하고 있다. NASA도 잃어버린 인공위성을 되찾아준 그의 실력을 보고 과연 아마추어로 볼 수 있을까.

나사 홈페이지에 실린 그의 이야기. 왜 당신은 아마추어 과학자(citizensist)로 살고 있습니까?> https://solarsystem.nasa.gov/news/375/meet-a-citizen-scientist-scott-tilley/A mini-profile of citizen scientist Scott Tilley, who studies artificial satellites of the Earth and the moon.solarsystem.nasa.gov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역사는 의외로 오래됐고 이들의 연구 결과도 개인 수준을 뛰어넘는 것이 많다고 한다. 90년 전인 1930년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사람도 고졸 아마추어 천문가 클라이드 톰보였다. 그는 시골에서 농사를 짓다가 별이 좋아 천문대에 무작정 아르바이트를 하게 된 사람이었다. 농기구 부품으로 천체망원경을 직접 만들 정도의 열정이 명왕성을 발견하는 영광의 순간을 선물해줬다.

우리나라에서도 아마추어가 중요한 과학적 발견을 한 예가 있다. 1998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사무국장 이태현 씨(40)는 소행성 1998 SG5를 발견해 아마추어 관측가의 힘을 보여줬다. 한국인 최초로 소행성을 발견한 것이다. 그해 9월 16일 날씨가 너무 좋았다. 부부 동반 만찬이 있었지만 아무래도 별을 보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았다. 장비를 들고 경기 연천으로 달려간 그는 새 별을 발견했다. 장비라고 해도 누구나 쉽게 구입할 수 있는 21cm의 천체망원경이었다. 처음엔 설마 했는데 천체사전을 뒤지다 뒤늦게 세계 최초임을 확인하고 3년 뒤 국제기구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그러면서 통일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조선시대 화가 신윤복의 작품 『월하정인』에 그려진 달의 모양을 보고 “그린 시기는 정확히 1793년 8월 21일, 음력 7월 15일”이라고 밝힌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 천문학계에서는 한때 그를 아마추어라고 무시했지만 별을 향한 그의 사랑은 무시할 수 없는 성과를 만들어냈다.

**어렸을 때 별을 관측하며 살고 싶다는 로맨틱한 꿈을 한 번쯤은 가져본 사람이 많다. 하지만 어른이 되면서 ‘하늘의 별만 보고 먹고 살 수 있다’는 현실적인 생각이 자리 잡는다.

우리는 무엇이든 돈과 연결시키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살면서 누릴 수 있는 작은 행복의 가능성을 싹둑 잘라버리는 경향이 있다.

아는 사람 중에 초등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있다. 그 분은 피아노, 트럼펫, 기타 등 다양한 악기를 많이 다룬다. 사람들이 묻는다고 한다.

선생님은 왜 그렇게 많은 악기를 연주하세요? 그냥 해요.잘하려고 안 하고 그냥 하고 있으니까.할 수 있거든요.‘

그 분은 계속해서 말한다. 요즘은 아이들도 어른들도 뭘 하면 너무 잘해야 하고 꼭 1등을 해야 하고 그걸로 먹고 살 수 있는 보장이 돼서 시작하는 것 같다고 한다. 하지만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그냥 하면 된다고 한다.

별을 보는 것, 우주를 연구하는 것.

천체물리학을 전공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NASA에 갈 정도의 우수한 성적이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먹고 살 만한 것이 아니라

그저 밤에 하늘을 향해 고개를 들 수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