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마케팅 비결 노트) – 3. SWOT 분석 제대로 하는 법

디지털 마케터의 SWOT 분석 팁

SWOT 분석은 이미 잘 알고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꼭 비즈니스 분야가 아니더라도 본인을 SWOT 분석해보거나 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SWOT 분석은 강점(S), 약점(W), 기회(O), 위협(T)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을 통해 전략을 수립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그 전략에 따라서는 타깃 고객, 가격, 프로모션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SWOT 분석을 단순히 1차원적인 관점에서 생각해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SWOT 분석은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 도구이기 때문에 상당히 정교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마케터의 내 제품이나 서비스의 강점과 약점을 생각했을 때 단순히 아이디어로 강점과 약점을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강점과 약점은 우리가 앞서 수행한 5C(자사, 경쟁사, 소비자, 소비자 경쟁자) 분석에서 도출되어야 합니다. 가장 중심은 고객이 될 것입니다. ‘고객 관점에서 경쟁사 대비 우리가 가진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를 발굴하는 것이 SWOT 분석입니다. 그렇게 SWOT 분석을 위해서는 충분한 경쟁사, 소비자 분석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성분의 화장품을 선호하는 고객들이 가장 고려하는 것은 친환경 제품의 가격이라고 할 때 경쟁사 제품이 우리 제품과 비슷한 수준의 브랜드 인지도, 제품 품질을 가지고 있는데 가격이 높으면 가격은 우리의 강점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같은 수준의 경쟁사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는 3만원대 명품 제품인데 10만원대 이상의 유명 브랜드 제품을 경쟁사로 선정하고 해당 제품보다 가격적으로 강점이 있다고 설정한다면 이는 SWOT 분석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10만원 이상대의 화장품을 구매하는 고객은 우리 제품(2~3만원)을 구매 고려 제품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즉, 해당 제품은 고객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의 경쟁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강점과 약점을 도출할 때 가장 많이 놓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이 점입니다.그리고 기회와 위협 요인을 도출할 때도 생각을 통해서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환경분석(PEST)을 통해서 도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환경오염 규제 강화, 1인 가구 소득 증가 등은 우리 제품/서비스에 따라 기회 요인이 될 수도 있고 위협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리서치를 통해 조사한 이슈가 제품과 서비스에 기회/위협 속에서 어떤 요인이 되는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은 향후 마케팅 전략에 핵심 가치로 사용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요인이 제품의 강점과 소비자 트렌드 기회 요인으로 선정돼 전략화(SO 전략)되면 브랜드 네임, 브랜드 색상, 소비자 메시지 소구, 홍보 채널, 홍보 모델 등 다양한 요소에 반영됩니다. 이것들은 여러분의 제품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회사에서 마케팅을 담당하는 마케터라면 SWOT 분석을 할 때 생각해 보고 생각나는 대로 작성하면 안 되겠죠? 능력 있는 마케터가 되기 위해서는 철저한 리서치와 전략 포인트를 도출하는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SWOT 분석을 잘 하려면 외부환경(PEST) 분석 5C 분석을 자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WOT 분석 프레임워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