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로마는 넷플릭스가 제작하고 멕시코의 거장 알폰소 쿠알론 감독이 연출했다. 2019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 넷플릭스 영화로는 첫 아카데미 수상이다. 알폰소 쿠알론 감독은 촬영상까지 수상해 작품상과 감독상 등 10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베네치아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도 수상했다고 해서 흑백이어서 끌리지 않았던 영화를 보고 있었다.
영화는 1970년대 초 멕시코의 정치적 혼란에 빠진 로마라는 도시를 배경으로 백인 중산층 가정의 가족과 유색인종 출신 가정부 클레오의 이야기다. 감독은 멕시코 국적이지만 잘살았던 백인계. 감독은 자신의 유년 시절과 자신을 돌봐주던 가정부의 이야기를 토대로 이 영화를 만들었다.(이미지 출처:넷플릭스)

스페인어를 공부하기 위해 넷플릭스 스페인어 콘텐츠를 검색하다가 우연히 로마로 가는 길이라는 1시간 12분짜리 다큐멘터리를 발견했다. 알폰소 쿠알론 감독은 언어를 적절한 속도로 간단한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페인어를 공부하기에도 좋은 다큐멘터리인 것 같다. 특히 델레시험에서는 어떤 인물의 일대기와 인터뷰에 대한 듣기 파트도 있기 때문에 반복해서 들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로마로 가는 길은 영화 로마의 제작 과정과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룬 다큐멘터리다. 처음부터 끝까지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인터뷰를 통해 관련 영상과 실제 영화 장면이 담겼다. 시작부터 놀라움의 연속이었다. 한국의 봉준호 감독 못지않게 디테일에 신경을 썼기 때문이다. 클레오가 영화를 보러 극장에 가는 장면에서 지나가는 수많은 행인 캐스팅도 70년대 당시 멕시코시티의 인종 분포를 고려해 갔다고 한다.

유년시절에 대해 기억하는 공간과 시대의 모든 것을 재현하려 했다. 아주 희미한 기억과 앵글에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모든 인물과 배경을 정성껏 표현했다. 분명히 영화는 흑백영화였지만 이 다큐멘터리는 컬러다. 모든 소품, 공간, 배경, 심지어 냄새까지 모두 똑같이 재현하고 싶었다는 감독. 작품에 나오는 옷들도 모두 그 시대의 의상을 원했고, 같은 장소라도 바뀐 곳은 역시 네거리까지 대대적인 공사를 거쳐 그대로 만들었다. 행인이 잠시 지나가는 신까지 공을 들였다.

이 영화를 굳이 흑백영화로 만든 이유가 궁금했지만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는 컬러가 나오지 않아 흑백으로 처음부터 만들려고 했고, 대신 영상은 21세기 방식으로 최대한 예쁘게 그리도록 했다고 한다. 흑백영화라도 어둡고 밝은 건 표현할 수 있으니 무슨 의도인지는 알겠는데 스태프들이 고생하는 걸 보면 흑백을 꼭 고집해야 하나 싶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컬러라서 오히려 더 생생하다.

감독이 알아서 다 했지만 모든 인물과 상황 디렉팅을 감독이 일일이 해야 하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결정을 해야 하고 많은 사람들과 소통해야 하는지 보는 사람이 피곤할 정도였다. 다행스러운 것은 봉준호 감독처럼 머릿속에 모든 그림이 그려져 있다는 사실로 배우들이 이 과정을 즐기는 모습이 보였다. 제작진과의 커뮤니케이션도 전혀 강압적이지 않고 부드럽고 설득력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인상적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디테일을 살려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 감독의 부드러운 리더십, 진정성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 어느 장면에도 억지 장면이 없고 의미 없는 장면이 하나도 없다. 다큐멘터리를 보면 영화에서는 느껴지지 않고, 보이지 않던 많은 것들이 보인다. 창작을 하는 사람이 보면 배울 것이 많다.
모든 것이 급변하는 세상에서 빨리빨리를 외치는 세상에서 이처럼 강박적으로 디테일하게 공을 들이는 거장의 일하는 모습을 보면 꼭 모든 것을 빨리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내가 맡은 일에 성과를 내기 위해 서두르거나 내 인생에서 빨리 성과를 내고 싶을 때 다큐멘터리를 보면 느낄 때가 많다. 마치 생활의 달인부터 달인들이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영혼을 다 쏟아붓듯.일할 때 반드시 영혼을 모두 갈아끼울 수는 없지만 그만큼 사람에 대한 애정과 진정성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는 뜻이다.

가정부 클레오 역과 아이들은 배우가 아닌 일반인을 캐스팅하고 아이들에게는 시나리오도 주지 않고 매일 즉석에서 상황을 던져 최대한 현실적인 감정과 아이들의 자연스럽고 순수한 느낌을 살렸다.
더 놀란 장면은 클레오가 남자친구와의 관계로 생긴 아이를 사산하는 장면에서 실제로 의사와 간호사를 캐스팅해 리허설을 하고 연기하도록 했다. 실제 상황처럼,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그 장면을 찍은 것이다. 클레오 역을 맡은 배우도 그 상황의 감정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하고, 그 장면의 특정 정보를 주지 않고 연출해 모두가 눈물바다가 됐다는 일화도 있다. 자신도 아는 장면이었지만 다시 봐도 눈물이 날 만큼 리얼했다.
각본을 미리 주지 않은 점은 홍상수 감독이 떠오르기도 했지만 다른 점은 더 연출이 디테일하다는 점이다. 클레오 역은 감독의 어린 시절 가정부와 꼭 닮았던 인물을 찾기 위해 천 명 가까이 오디션을 봤다고 한다. 군중 장면에 나오는 엑스트라조차 의상과 연기도 감독이 직접 일일이 해내는 장면은 놀라웠다. 함께 일하는 제작진으로선 적지 않은 고생을 했겠지만 이들의 인터뷰는 없었다.
서양의 봉준호 감독, 멕시코의 봉태일 같은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디렉팅과 스타일이 궁금하거나, 영화 로마를 인상 깊게 본 영화 팬들에게 다큐멘터리를 권하고 싶다.스페인어 듣기를 흥미롭게 공부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자막을 스페인어로 설정하거나 자막을 보지 말고 들을 것을 권한다.



Yotuve unare lacicn cercan a conel cine des de muy temprana edad. Creoque el cine tambiénest Y marcado consentimiento desoled하지만 영화는 외로움이라는 감정과도 관련이 있어요.
Dealguna manera, el punto de vista es del universo.Y sonestos personajes quefliyeny transcurren eneste universo.이 영화는 이 세상의 이야기일 뿐이고, 이 영화는 이 세상의 이야기일 뿐이며, 이 영화는 이 세상의 이야기일 뿐이다.#알폰소쿠아론감독 #영화로마 #넷플릭스로마 #넷플릭스로마가는길 #볼만한넷플릭스다큐멘터리 #스페인어다큐멘터리 #스페인어공부 #델레시험공부 #스페인어듣기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