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원문 보기=한컴그룹 계열사인 한컴인스페이스가 내년 6월 1일 민간 지구관측용 인공위성 세종1호를 발사한다(사진=한컴그룹). ©국토매일 [국토매일=김영도기 pmnews.co.kr 미, ‘스페이스X(SpaceX)’와 발사계약 체결… 향후 50기 이상의 군집위성 운용

한컴그룹 계열사인 한컴인스페이스가 내년 6월 1일 민간 지구관측용 인공위성 세종1호를 발사한다(사진=한컴그룹). 국토매일한컴그룹이 미국의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와 인공위성 발사 계약을 맺고 민간에서도 본격적인 인공위성 활용 산업이 열릴 전망으로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게 됐다.
한글과컴퓨터그룹 계열사인 우주항공전문기업 한컴인스페이스(대표 최명진)는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SpaceX)와 세종1호 발사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6월 1일 발사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한컴인스페이스는 올해 9월 한국 최초의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세종1호(Sejong-1) 발사 계획을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세종1호는 스페이스X의 팔콘9(FALCON9) 로켓을 이용해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우주센터에서 발사할 예정이다.
팔콘9는 스페이스X가 개발한 재사용 가능한 우주발사체로 위성적재물을 저궤도(LEO), 정지궤도(GEO)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한컴 인 스페이스 최명진 대표이사 ©김영도 최명진 대표는 “세종1호는 현재 영국 글래스고에 위치한 위성설계 및 조립공장, 환경테스트시험소에서 탑재체 연동시험에 성공해 내년 4월 치러지는 환경시험평가를 완료하면 예정대로 발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컴인스페이스는 발사 후 약 한 달간의 테스트를 거쳐 지구관측영상 분석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한컴그룹은 세종1호 발사를 시작으로 5호까지 순차적으로 위성 발사를 추진하며 사업 성장세에 따라 관측위성은 물론 통신위성 등 50기 이상의 군집위성을 발사 운용할 계획이다.
또 현재 진행 중인 한국형우주발사체(KSLV) 개발이 완료되면 국내에서 세종위성 시리즈를 발사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와 투자를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한컴그룹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김명준/이하 ETRI)으로부터 지상국과 저궤도위성(고도:500~600km)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핵심기술을 이전받아 군집위성체계 운용에 필요한 위성통신기술의 고도화 및 상용화에 나선다.
ETRI로부터 이전되는 ‘저궤도 위성 IoT를 위한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패킷(데이터 전송단위) 처리 성능 평가 기술’이란 DSS 방식의 신호 전송 기술을 저궤도 위성 채널에 적용했을 때 패킷 처리율을 측정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기술이다.
DSSS 방식은 통신과정에서 신호를 광대역으로 확산시키는 신호전송 기술로 초소형 위성 기반의 IoT 서비스에서 가장 효율적인 통신방식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해당 기술을 활용하면 실제 단말기와 위성 제작에 앞서 DSSS 방식을 적용한 유효성을 사전에 검증해 분석할 수 있다.
최명진 대표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통신 및 영상 데이터, IoT 등 다양한 위성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세종1호 발사를 시작으로 위성 관련 기술의 국산화 및 고도화를 통해 우주항공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사업 방향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국토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