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대 이상 연령층의 약 30%가 고혈압으로 추정된다고 하는데요.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인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정상 혈압 범위와 올바른 혈압 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혈압이란 무엇인가? Blood Pressure, BP
우리 몸에 산소와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을 골고루 공급하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으로 심장이 펌프를 치는데요. 동맥 혈관을 따라 흐르는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합니다. 합니다. * 동맥혈관 :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이 지나가는 혈관
심장이 수축하고 압력이 높을 때를 수축기 혈압(SBP=Systolic Blood Pressure), 이완되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졌을 때를 이완기 혈압(DBP=Diastolic Blood Pressure)이라고 하는데 보통 임상으로 표기할 때는 SBP/DBPmmHg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수축기와 이완기의 혈압 차이는 맥압(PP=Pulse Pressure)이라고 합니다.
정상 혈압 범위와 고혈압 판정 기준
혈압이 높으면 동맥혈관 안쪽 얇은 내막이 손상돼 동맥경화성 심뇌혈관질환(심근경색, 뇌졸중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혈압이 높다고 해서 단시간 내에 증상은 나타나지 않지만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으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각한 심뇌혈관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세계 사망원인 기여도 1위인 만큼 주의가 필요한 기저질환입니다.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가장 낮은 수치를 정상 혈압으로 보는데요. 보통 120/80mmHg 미만입니다. 진료실에서 안정된 상태로 측정하여 140/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간주합니다만. SBP나 DBP 수치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 범위를 넘으면 해당 질환으로 판정됩니다.* 올바른 혈압 측정 방법으로 진행하더라도 가정에서 측정할 경우 진료실보다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135/85mmHg 이상인 경우를 의심판정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Ex) 다음의 경우 모두 고혈압에 해당합니다.SBP/DBP 모두 판정기준 이상일 때 Ex)148/93mm HgSBP만 판정기준 이상일 때 Ex)148/86mm HgDBP만 판정기준 이상일 때 Ex)136/94mm Hg

혈압 측정 방법을 조사하다
올바른 혈압 측정 방법은 다음 순서로 진행됩니다. 충분히 안정을 취한 후 바른 자세로 앉아서 재야 합니다.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등을 기대고 발을 바닥에 붙이고 앉는 것은 최소 5분간 안정하며 조용한 환경에서 측정하는 혈압을 측정하기 전 30분 이내에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를 자제하는 것을 최소 1~2분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해 평균치를 사용한다.
만약 첫 번째와 두 번째 값의 차이가 20mmHg 이상이면 다시 측정하여 수치가 안정된 두 번째와 세 번째 혈압 평균을 사용합니다.

가정에서 관리할 때는 측정 결과뿐만 아니라 날짜, 시간, 부위 등을 함께 메모하여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정상 혈압 범위와 고혈압 판정 기준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는데요.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만큼 올바른 혈압 측정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출처 및 참고 문헌 1. 국가건강정보포털 2.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