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부산 연제구 이진영 엄마병원입니다.갑상선 결절은 대부분이 양성으로,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작지만, 그 중 갑상선 결절 내 석회화 소견이 보이는 경우는 갑상선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러나 갑상선 석회화라고 해서 모든 것이 암으로 판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직검사에서 정밀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갑상선 결절이란?

갑상선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하여 갑상선에 응어리가 생기는 질환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합니다.발병률이 높고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결절을 양성과 악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 양성 결절이지만, 약 10%는 암으로 진단되기 때문에 정밀 진단이 필요합니다.
갑상선 석회화란?석회란 조직과 세포에 칼슘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것으로, 초음파 검사에서 흰 점, 선이나 응집된 형태 등으로 나타납니다.갑상선 석회화는 초음파 검사에 의해 분포의 정도, 모양, 크기, 위치 등으로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진단합니다.양성석회화는 표면이 뚜렷하고 규칙적이지만 악성석회화는 거대석회화의 경우나 흰 점이 흩어져 있어 크기가 아주 작은 소견을 보이고 있으나 미세석회화의 경우 깨끗이 제거가 어려워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왼쪽) 불균질한 결절 내부에 미세석회화가 여러 개 나타나는 악성 결절, 오른쪽) 2mm 이상의 거대 석회화가 나타나는 악성 결절 (출처 : 서울대 암병원)
갑상선 석회화 결절 증상 갑상선 석회화 결절은 다른 갑상선 질환과 마찬가지로 증상이 애매해서 다른 질환과 착각하기 쉽습니다.갑상선 결절 내 석회화가 과도하게 진행된 경우, 조직세포를 채취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만성 피로감, 목의 이물감 등 갑상선 질환의심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조기에 갑상선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갑상선질환 의심증상>
- 결절이 크거나 갑자기 커진 경우, 2. 목에 이물감이 있어 불쾌한 경우, 3. 갑상선에 덩어리가 있어 목소리의 변화가 있는 경우, 4. 결절이 매우 딱딱하게 닿은 경우, 5. 목의 특정 부위가 항상 부어 있는 경우, 6. 가족 중에 갑상선암 환자가 있고 결절이 닿은 경우
갑상선 결절 조직 검사 석회화 결절이 무조건 갑상선암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정확한 진단을 위해 초음파검사로 악성 가능성이 있는 경우 세포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진단합니다.결절의 위치, 크기, 모양, 상태 등을 관찰하여 악성 위험도가 있으면 미세침흡인검사, 총조직검사 등을 통해 조직검사를 실시하고 암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수술로 치료합니다.암이 아닌 양성 결절의 경우는 불쾌감이 없으면 정기적인 검사로 경과를 관찰합니다.
양성 결절은 고주파 절제술로!

고주파 절제술은 1mm 미세 열침에 의해 바늘 주변의 종양을 제거합니다.비수술 치료법으로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흉터가 거의 없습니다. 또한 국소마취 시술로 시술시간이 짧고 회복도 빠릅니다.수술 후에 일어날 수 있는 갑상선 기능 저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낮습니다.

대학교수 출신의 우수한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진영 맘병원은 환자가 아닌 사연을 가진 한사람으로서 깊이 이해하고 보다 행복한 치유과정이 되도록 환자를 위한 진료를 시행합니다.임상경험이 풍부한 부산 갑상선 전문의에게 체계적인 검사를 받아보세요.
예약 및 문의 051-868-6078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대로 2 959층